많은 직장인들이 잘못 이해하고 있는 건강보험료 정산 제도, 이번 포스팅에서 2024년 최신 기준으로 계산법부터 정산 내역 확인 방법까지 하나씩 파헤쳐 드릴게요!
✅ 건강보험 연말정산이란?
✔️ 기본 개념
‘연말정산’이라는 말 때문에 흔히 소득세 정산으로 오해하지만, 건강보험 연말정산은 정확히는 **“보험료 정산”**입니다.
즉, 직장가입자의 실제 연간 소득을 기준으로 건강보험료와 장기요양보험료를 다시 계산하여 과부족 금액을 정산하는 것이죠.
✔️ 왜 정산을 할까?
매월 급여에 따라 납부하는 보험료는 예상 보수 기준
하지만 실제 연말에 소득이 변동될 수 있음 (보너스, 수당 등)
이 차이를 반영하여 과부족 보험료를 4월에 조정
📌 정산 대상 기간: 전년도 1월 ~ 12월 📌 정산 반영 시점: 올해 4월 급여 (정확히는 3월말~4월초 사이 회사별 반영)
🧮 건강보험 연말정산 계산법 (2024년 기준)
1. 건강보험료 계산 공식
복사편집
월 건강보험료 = 보수월액 × 건강보험료율
2024년 건강보험료율: 7.09%
장기요양보험료율: 건강보험료의 12.81% 추가 부과
예시: 연간 총 급여(보수총액)가 6,000만 원인 경우 → 평균 보수월액: 6,000만 원 ÷ 12 = 500만 원 → 월 보험료: 500만 원 × 7.09% = 354,500원 → 장기요양: 354,500원 × 12.81% = 약 45,400원 → 총 월 보험료: 약 399,900원
2. 정산 시 포함되는 소득
건강보험 정산 시 기본급 외 다음 항목도 포함됩니다:
각종 수당 (직책수당, 자격수당, 근속수당 등)
상여금 (성과급 포함)
초과근무 수당 (연장, 야간, 휴일 근무 수당)
성과급 (연말 지급된 별도 인센티브 등)
✅ 이처럼 급여 외 소득이 많은 분일수록 정산 시 추가 납부금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.
📉 환급 vs 추가 납부, 차이는?
구분어떤 경우?결과
✅ 환급
연간 총 보수가 예상보다 적었을 때
건강보험료 일부 환급
❌ 추가 납부
연간 총 보수가 예상보다 많았을 때
건강보험료 더 납부
추가 납부 금액은 한 번에 급여에서 차감되는 경우가 많아 4월 급여가 갑자기 줄어드는 원인이 됩니다.